올앤지의 인공지능 도전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올앤지의 인공지능 도전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
    • AIFFEL👩🏻‍💻 (4)
    • CS231n (0)
    • 작업중 (0)

검색 레이어

올앤지의 인공지능 도전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F-09] Numpy, Pandas 이해하기

    2022.02.25 by 올앤지

  •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2022.01.21 by 올앤지

  • [EXPLORATION 4] 작사가 인공지능 만들기

    2022.01.13 by 올앤지

  • [Exploration 3] 카메라 스티커앱 만들기 첫걸음

    2022.01.11 by 올앤지

[F-09] Numpy, Pandas 이해하기

배열 Array index와 그 index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묶음 list(파이썬): 가변적 시퀀스형, 동적 배열, 다른 타입의 자료형이 허용 된다. array: import 필요, 다른 타입의 자료형 입력 불가 import array as arr mylist = [1, 2, 3] # 이것은 파이썬 built-in list입니다. print(type(mylist)) mylist.append('4') # mylist의 끝에 character '4'를 추가합니다. print(mylist) mylist.insert(1, 5) # mylist의 두번째 자리에 5를 끼워넣습니다. print(mylist)숫자형으로만 이루어진 mylist에 문자열 '4'를 추가할 수 있다..

AIFFEL👩🏻‍💻 2022. 2. 25. 04:14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EDA(Exploratory Data Analysis)는 본격적인 분석이나 모델학습 이전에 데이터를 톺아보는 과정이다. 활용하려는 데이터의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모델의 설계나 이후의 분석에서도 더 유의미한 결과를 낼 확률이 높다. 데이터셋 불러오기 Kaggle 에서 데이터셋을 가져오는 경우 Description 파트를 보면 데이터 제공자의 친절한 설명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데이터셋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들어있다. Data Explorer 파트에 들어가면 Detail Compact Column 등의 메뉴가 있다. 데이터셋을 자세하게, 간략하게, 컬럼만 모아서 등등으로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 original_data와 data 분리 원본 데이터는 따로 저장해둬야 data에서 ..

AIFFEL👩🏻‍💻 2022. 1. 21. 12:54

[EXPLORATION 4] 작사가 인공지능 만들기

Intro: NLP GPT-2, GPT-3 NLP에서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문장을 이해하는 방식, 작문을 학습하는 법 시퀀스 Sequence Python: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 총칭(sequence type) 텍스트, 시계열 수치 등도 모두 sequence다. 📌 인공지능이 예측하려면 sequence 요소들 사이의 연관성이 있어야함. (막무가내로 예측할 순 없음!) but, 문법으로 예측하는 건 한계(규칙을 일일이 다 입력하기 어렵고, 예외도 너무 많다) 따라서 통계에 기반한 방식으로 접근한다! 순환신경망 RNN output 값이 다시 input이 되는 순환의 구조 sentence = " 나는 밥을 먹었다 " source\_sentence = "" + sentence target\_sentenc..

AIFFEL👩🏻‍💻 2022. 1. 13. 15:36

[Exploration 3] 카메라 스티커앱 만들기 첫걸음

스노우 같은 카메라 스티커앱은 어떻게 작동할까? 일단 입력값인 동영상(연속된 사진)에서 얼굴을 인식해내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나 사람이 계속 움직이므로 얼굴을 추적해내기도 해야한다. 추적한 얼굴의 걸맞은 위치에 스티커를 부착해야 한다. 만약 사람이 가까이 다가오면 스티커도 커지고 사람이 멀어지면 스티커는 작아져야한다. 이런 여러가지 과제를 가지고 스티커앱 만들기에 도전해보자! 0. 어떻게 구현할까? 얼개 잡기 스티커를 잘 붙이려면 이목구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중요 포인트의 위치를 찾아내는 기술을 랜드마크(landmark) 또는 조정(alignment) 이라고 한다. 얼굴의 경우 눈, 코, 입, 턱이 주요 포인트가 된다. 머리의 위치는 눈과 코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스티커앱을 구현..

AIFFEL👩🏻‍💻 2022. 1. 11. 13:1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올앤지의 인공지능 도전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